건설업실무

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

TGLOG 2025. 8. 20. 11:12
반응형

 

1. 사고 인지 및 즉각 대응

  • 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현장 근로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관리 감독자에게 알립니다.
  • 감전·추락·협착 등 위험이 계속되는 상황이라면 전원 차단, 장비 정지, 작업 중단과 같은 긴급조치를 우선해야 합니다.
  • 이 몇 초의 판단이 곧 근로자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.

2. 응급조치 및 119 신고

  • 부상자 상태를 확인 후,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심폐소생술·지혈·고정 등 응급조치를 시행합니다.
  • 동시에 119에 신고하여 사고 위치, 환자 상태, 접근 경로를 정확히 알립니다.
  • 경상이라도 반드시 의료기관 진료 기록을 남겨야 향후 산재 처리 시 불이익이 없습니다.

3. 현장 통제 및 2차 사고 방지

  • 부상자 이송이 끝난 후에도 현장을 방치하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철근 낙하, 미정지 장비, 노출된 전선 등이 또 다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  • 따라서 현장을 즉시 통제하고, 위험 요소를 제거해야 합니다.

4. 회사 및 관계기관 보고

  • 보고 체계는 지체 없이 진행해야 합니다.
    1. 현장 소장·안전부서 보고
    2. 본사 안전팀/공무팀 보고
    3. 고용노동부, 발주처, 원청(공동도급 시) 보고
  • 특히 중대재해는 즉시 보고 의무가 있으므로 지연은 과태료, 행정처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5.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및 행정 절차

  • 경상이라도 산업재해조사표 작성·제출은 필수입니다.
  • 이후 산재보험 신청, 공상처리 협의, 노동부 조사 대응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.
  • 공무 담당자는 이 과정에서 노무비·산재보험 관리까지 고려해야 향후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6. 원인 분석 및 재발 방지

  • 사고 처리 후에는 반드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.
  •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    • 사고 원인 분석
    • 안전 교육 및 훈련 강화
    • 보호구 착용 점검
    • 작업 절차 및 위험성 평가 보완
  • 단순히 사고를 “마무리”하는 것이 아니라,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✔ 실무 체크포인트

  • ✅ 골든타임 3분: 응급조치가 생명을 살린다
  • ✅ 경상이라도 의료기관 진료 기록 필수
  • ✅ 보고 누락은 가장 큰 리스크 → 즉시 보고 체계 가동
  • ✅ 재발 방지 대책은 곧 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근거

결론

산업재해는 예방이 최선이지만, 발생 시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더 큰 차이를 만듭니다.

건설업 현장의 모든 관계자는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를 숙지하고, 반복 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합니다.
안전은 곧 회사의 신뢰이며, 근로자의 생명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.

반응형